부산-김해간 경량전철 신호시스템 방식은 무선통신기반 (RF CBTC :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)의 무인 자동운전 시스템이다. 무선통신기반(RF CBTC) 열차자동제어 시스템은 열차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며, 열차의 안전운행을 제어 및 보장한다. 서브시스템들로는 열차의 안전한 이동 기능을 관리하는 ATP (Automatic Train Protection), 열차의 자동 운전, 정위치 정차, 열차 및 PSD 출입문 제어를 수행하는 ATO(Automatic Train Operation), 열차위치와 모든 ATC 구성요소들의 운용 상태를 감시하는 ATS(Automatic Train Supervision)가 있다. 공간적인 개념으로는 사령실설비, 신호기계실설비, 선로변설비, 차상설비로 구분된다.
구분 | 설비명 | 단위 | 수량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관제설비 | 대형표시반(DLP) | 대 | 4 | 관제실 |
본선 운영자콘솔 | 대 | 2 | 관제실 | |
차량기지 운영자콘솔 | 대 | 1 | 관제실 | |
NMS2 | 대 | 1 | 관제실 | |
유지보수 콘솔 | 대 | 1 | 관제실 | |
관리자 콘솔 | 대 | 1 | 관제실 | |
타임테이블 콘솔 | 대 | 1 | 관제실 | |
SRS | 대 | 3 | 관제실 | |
DL | 대 | 3 | 관제실 | |
NMS | 대 | 1 | 관제실 | |
UPS | 대 | 1 | 관제실 | |
축전지 | 셀 | 184 | 관제실 | |
통합 CONTROLLER | 대 | 1 | 관제실 | |
Wall Controller | 대 | 1 | 관제실 | |
RGB 매트릭스 | 대 | 1 | 관제실 | |
기상설비 PC | 대 | 1 | 관제실 | |
UPS 모니터링 PC | 대 | 1 | 관제실 | |
지상설비 | WCU | 대 | 30 | 기계실 |
DCS | 대 | 23 | 기계실 | |
CTF | 대 | 28 | 기계실 | |
PDCI | 대 | 22 | 기계실 | |
UPS | 대 | 22 | 기계실 | |
축전지 | 셀 | 4048 | 기계실 | |
PSD 종합제어반 | 대 | 42 | 기계실 | |
PSD UPS | 대 | 21 | 기계실 | |
LMC | 대 | 9 | 기계실 | |
DR | 대 | 9 | 기계실 | |
선로변설비 선로변설비 | 풍향풍속계 | 대 | 1 | 선로변 |
적설계 | 대 | 1 | 선로변 | |
강우량계 | 대 | 2 | 선로변 | |
선로전환기 | 대 | 60 | 선로변 | |
AP함 | 대 | 165 | 선로변 | |
TAG | 대 | 1503 | 선로변 | |
정위치정차판 | 대 | 212 | 선로변 | |
신호기 | 대 | 86 | 선로변 | |
PSD | 본선 21개 역사 | 대 | 168 | 승강장 |
차상신호설비 | VOBC & 주변장치 | 대 | 52 | 차상 |
*주) 상기 내용은 설비 인수인계 시 확정된 현황 및 실수량 파악결과 적용.